본문 바로가기

Engineer/Definition Concept

NFT 관련 용어 정리

반응형

Definition concept of NFT words

 

 

 

■ NFT 관련 용어

  용어 설명
  NFT NFT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다. 풀어서 이야기하면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여 저마다 고유성과 희소성을 갖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인 것이다. NFT는 영상, 그림, 음악 등의 디지털 파일에 복제 및 위조가 불가능한 암호를 증명서 형태로 만들 수 있어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 (Blockchain) 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로, 가상 화폐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아준다. NFT가 블록체인을 활용해 토큰을 발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NFT의 소유권 기록과 거래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토큰에 저장하면 위·변조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NFT가 대체불가능한 토큰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블록체인 기술의 ‘위·변조방지’ 특성 덕분이다.
  DAO (Decentralized Autonome Organization)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을 의미한다.
  DEX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화된 거래소
  CEX (Centralized Exchange) 중앙화된 거래소
  DeFi (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된 분산 금융
  민팅(Minting) 민팅(Minting)이란 NFT를 발행하는 것으로 그림, 영상 등의 디지털 자산의 NFT를 생성하는 것이다. ‘화폐를 주조하다’라는 뜻의 영어단어인 mint에서 유래됐다. 디지털 파일을 블록체인 위에 올리고 해당 파일을 내 소유로 등록하기 위해 블록체인 지갑을 사용해 연결한다. 민팅이 이루어지면 그림 등 디지털 콘텐츠에 대체불가능한 고유자산 정보가 부여된다.
  가스비 수수료라고 볼 수 있다. 이더리움에서 송금이나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때 들어가는 비용을 의미한다. 가스비는 이더의 하위 단계인 기가웨이(Gwei)로 계산된다. 일반적으로 기가웨이 값이 높을수록 가스비가 많이 나오고 기가웨이값이 낮을 수록 가스비도 적게 나온다. 사람들이 민팅에 많이 참여하면 기가웨이값이 올라간다.
  거버넌스 (Governance) 사전상의 뜻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의사결정을 하도록 만들어진 제반장치를 뜻하나 NFT에서는 해당 NFT홀더들이 특정 안건에 대해 투표를 하는 자리이다. 거버넌스 내용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기도 한다.
  드롭 (Drop) 드롭은 NFT를 타인에게 판매하기 위해서 NFT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업로드하는 것이다.
  에어드롭 (Airdrop) NFT 작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NFT 프로젝트들이 얼리어답터와 참가자들에게 보상 차원에서 진행하기도 한다.
  리스팅 (Listing) NFT 작품을 판매하기 위해 NFT 거래소에 NFT 작품을 등록하는 과정이다.
  더치옥션 더치옥션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잉글리시 옥션의 반대 개념입니다. 잉글리시 옥션은 여러분이 아는 가격이 높아지는 경매입니다. 더치옥션은 초기 가격에서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는 판매방식으로 치열한 눈치작전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하잎 프로젝트는 초기 판매가에서 매진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즉, 눈치작전이 먹히지도 않는다는 것입니다.
  오픈씨 (OpenSea) 오픈씨는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으로 NFT를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NFT 거래소이다. NFT에 관심이 커지며 국·내외 NFT 거래소 숫자는 점점 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NFT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코빗이다. 국외는 오픈씨(OpenSea), 니프티 게이트웨이(Nifty Gateway), 파운데이션(Foundation), 메이커스플레이스(MakersPlace), 슈퍼레어(SuperRare), 라리블(Rarible), NBA 탑 샷(NBA Top Shot), MLB 톱스(MLB Topps), 민터블(Mintable), 바이낸스 NFT(Binance NFT) 등이 있다.
  블록 높이 (Block Height) 블록 생성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민팅 거래에 활용하는데요. 특정 블록 높이에서 거래가 시작된다고 제시하면, 이 블록높이에 맞춰 트랜잭션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블록 높이는 전송 시간에 따른 오차가 있어 본인 컴퓨터와 인터넷 환경에 맞는 트랜잭션 전송 시간 파악이 중요합니다.
  NFT의 소유권과 저작권 NFT를 구매하면 소유권과 저작권은 어떻게 될까? 일반적으로 NFT를 구매했다고 해서 저작권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는 것은 아니다. NFT는 소유권을 갖는 개념이며, 저작권은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림 NFT를 구매했다고 해서 굿즈를 제작하는 등 2차, 3차 판매 목적으로 상품화를 할 수 없다. 단, 판매자가 NFT 발행 조건에 저작권을 포함한다는 내용을 넣었을 경우는 예외이다.
  대퍼랩스 (Dapper Labs)  대퍼랩스는 NFT 분야를 개척하고 산업을 만들어가는 대표적인 개발사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고양이 육성 게임인 크립토키티(CryptoKitties), NBA 탑샷(Top Shot)을 NFT로 개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대퍼랩스는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플로우(FLOW)를 만들었다. 플로우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플로우 토큰은 대퍼랩스의 여러 비즈니스가 활성화되면서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소더비 (Sotheby’s)
크리스티 (Christie’s)
소더비와 크리스티는 미술품 경매 기업이다. 두 회사는 전 세계 경매에서 거래되는 미술품의 70% 이상을 담당한다. 200여 년이 훌쩍 넘는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소더비와 크리스티가 NFT 미술시장에 진출하며 미술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NFT 스마트 컨트랙트
(NFT Smart Contract))
(조건부 자동계약 체결)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조건이 충족됐을 때 계약이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더리움’으로 대표되는 2세대 블록체인이 론칭되면서 조건이 수반된 자동거래, 즉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가 가능해졌다.
  트잭 트랜잭션, Transaction을 줄인 말입니다.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화이트리스트 (Whitelist) NFT를 초기에 싸게 살 수 있는 권리이다. 특정 이익이나 권리를 보장한다는 의미로, 프로젝트 초기에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들을 선별해 NFT 민팅 권한을 부여하여 자발적인 홍보와 활성화를 유도한다.
  퍼블릭 (Public) 퍼블릭은 직역하면 대중이란 뜻이다. 화이트리스트들에게 NFT 수량 분배가 끝난 뒤, 남은 물량들은 모든 대중들이 구매할 수 있다. 프로젝트 팀은 퍼빌릭의 방법 중 선착순의 방법을 이용하여 NFT 잔여 수량을 판매한다. 유명 콘서트 티켓팅, 학교 수강신청 등의 방법을 생각하면 된다. 인기 있는 NFT들은 단 몇 초 만에 민팅이 끝나기도 한다.
  래플 (Raffle) 래플의 사전적 의미는 추첨식 복권이다. 어떤 조건을 달성하지 않아도 이름만 써넣으면(NFT를 받을 지갑 주소만 등록 하면) 추첨식으로 NFT를 민팅할 수 있다.
  핸드픽 (Hand Pick) 핸드픽은 말 그대로 개발팀에서 개발팀이 제시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정 인원을 직접 뽑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서 화리권을 부여한다거나, 특정 혜택을 제공한다. 팬아트를 그린다던지, 정성스러운 응원 댓글을 남긴다던지 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핸드픽이 이루어진다.
  NFTZ NFT와 블록체인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디파이언스ETFs가 운용하는 ETF이다. NFT를 테마로 한 최초의 ETF이다.
  OG (Original Ganster) OG는 화이트리스트보다 더 빠르게 NFT 프로젝트 팀에 도움을 준 사람들을 의미한다. 극 초창기에 프로젝트 홍보에 힘쓰거나, 커뮤니티 활동을 열심히 한 사람들이다. 화이트리스트보다 민팅 우선권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위치에 닿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좋은 NFT 프로젝트를 찾아야 한다. 그래서 일반 대중들은 OG가 되기는 어렵다.
  AMA (Ask Me Anything) Ask me anything의 줄임말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의미로 NFT 프로젝트 개발진&운영진들이 NFT 홀더들을 대상으로 질문과 답변을 하는 시간이다.
  리빌 (reveal) NFT의 특성이 모두 공개되지 않은 상태를 이르는 용어이다.
  바닥가 (FP) 어떤 프로젝트의 NFT가 있을 때 리스팅 된 NFT 중 가장 낮은 가격을 의미한다.
  PFP (profile picture) 프로필 사진을 의미하는 ‘profile picture’의 약자에 NFT를 더한 단어다. NFT 커뮤니티 및 SNS 상에서 NFT 기반의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PFP로 본인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P2E (Play To Earn)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벌 수 잇다는 뜻이다. 게임을 하면 나온 아이템과 코인을 팔아서 현금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다만 국내에서는 사행성 우려로 인해 게임 내 자산을 현금화하는 걸 금지하고 있다.
  M2E (Move To Earn) 운동을 하며 돈을 벌 수 있다는 뜻이다. NFT를 구매한 이후 앱을 통해 움직임을 측정하고 움직임에 따라 코인을 제공받고, 해당 코인을 팔아 현금화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많이 걸을수록 돈을 주는 그런 앱들을 기존에도 많이 봤을 것이다. M2E는 그러한 서비스들의 코인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스테이킹 투자자가 보유한 가상자산을 일정 기간 예치하면 그 대가로 가상자산을 추가로 지급해주는 걸 뜻한다. NFT에서도 스테이킹 개념이 쓰이고 있는데, 운영진이 만든 사이트에서 NFT를 맡기면 일정 기간 동안 어느정도의 자체 코인을 제공해주는 방식이다.
  토크노믹스 토큰+이코노믹스, 토큰을 활용해 여러 경제적인 활동을 하는 걸 의미한다.
  챗굴 챗굴이란 채팅 + 채굴의 합성어로 디스코드에서 채팅을 통해 레벨을 올리는 행위를 뜻한다. 많은 프로젝트 팀들은 화리권을 주기 위한 조건으로 챗굴을 요구한다. 즉, 디스코드에서 열심히 활동하여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킨 사람들에게 우선권을 주겠다는 의미이다. 이때, 대부분 도배방지를 위해 채팅창에 슬로우를 걸어 30초에 1회만 입력할 수 있게 제한을 거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메타마스크 지갑
(Metamask wallet)
대표적인 개인용 가상화폐 지갑
  카이카스지갑
(Kaikas wallet)
국내 프로젝트에 자주 사용되는 클레이튼 계열 지갑

 

 

NFT 에 대해서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만한 용어들에 대한 정리입니다. NFT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by mkdir-chandle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