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EC2 - user sudo 권한 부여 방법
■ 개요
Case 1
- 일반 계정을 만들고, 해당 계정에 sudo 권한을 부여 (su 포함)
Case 2
- 일반 계정을 만들고, 해당 계정에 sudo 권한을 부여하지만 su 명령어는 비 활성화 (root 계정 전환이 안됨)
■ (공통) 유저 생성
EC2 instance에 접속합니다.
유저를 생성합니다.
sudo 명령어를 사용해 보면 방금 생성한 계정은 yum에 대한 권한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se 1
/etc/sudoers 파일에 다음의 설정을 추가합니다.
user_name ALL=(ALL) NOPASSWD: ALL
이후 sudo 명령과 root 전환이 모두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se 2
/etc/sudoers 파일에 다음의 설정을 추가합니다.
user_name ALL=(ALL) NOPASSWD: /usr/bin/yum
해당 내용은 /usr/bin/yum 명령어를 sudo 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sudo 권한으로 사용하고 싶은 명령어가 더 있을 경우 컴마(,) 로 구분하여 계속 추가하면 됩니다.
예) /usr/bin/yum, /usr/bin/cp
sudo 명령어로 yum 명령어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root 전환 (sudo su) 은 불가능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ference
내용 | URL | |
리눅스 계정에 특정 명령어 root 실행 권한 주기 | 리눅스 계정에 특정 명령어 root 실행 권한 주기 |
by mkdir-chandler
728x90
반응형
'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 key 접속인데 패스워드 입력하라고 나올 때 (Trouble Shooting) (0) | 2023.06.02 |
---|---|
AWS EC2 - 인스턴스 접속이 되지 않을 때 (Trouble Shooting) (0) | 2023.06.01 |
AWS EC2 - user 생성 (used key pair) (0) | 2023.05.29 |
AWS EC2 - user 생성 (new key pair) (0) | 2023.05.28 |
AWS EC2 - ssm agent 설치 (Linux) (0) | 2023.05.27 |